[광주MBC] 햇빛연금 잇는 '영암형 에너지 기본소득' 시동
페이지 정보
햇빛연금 잇는 '영암형 에너지 기본소득' 시동
(앵커)
신안군이 추진하고 있는 이익공유제인 '햇빛연금'과 비슷한 에너지 기본소득 사업을 영암군이 추진합니다.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조성해 수익을 군민들과 나누겠다는 구상인데요.
주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한 공청회가 시작됐습니다.
박종호 기자입니다.
(기자)
영암군 도포면 주민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영암군이 추진하는 에너지 기본소득 정책에 대해 직접 설명을 듣고, 궁금한 점을 묻기 위해섭니다.
재생에너지 개발로 생기는 이익을 어떻게 배분할지, 간척지 활용에 따른 농민 보상은 어떻게 할지 등 질문이 이어졌습니다.
김대만 영암군 도포면 주민
"고정 소득이 항상 들어오니까 우리 면민의 삶의 질이 높아질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농지 소유자들도 농사 짓는 것보다 수익이 훨씬 나올 것 같다고..."
영암형 에너지 기본소득은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해 주민들에게 소득의 일부를 분배해주는 제도.
삼호읍 2천 310만 제곱미터 부지에 오는 2029년까지 간척지와 수상 태양광을 설치해 2,100메가와트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영암군 전체 연간 전력 수요의 두배 수준입니다.
발전 소득은 군민에게 기본소득으로 돌려주고, 간척지 임차농에게는 협동조합 참여와 일자리 제공으로 상생을 도모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미 서호면 송산마을과 학산면 신안정마을에는 60kW의 에너지자립마을이 조성돼 가구당 월 30~50만 원의 소득을 받고 있습니다.
우승희 영암군수
"그동안 우리 지역의 간척지를 통해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자는 의견들이 있었고 또 특히 우리 대불국가산단 같은 경우는 생산된 신재생에너지를 바로 쓸 수 있는 이런 소비 산단까지 갖춰져 있기 때문에..."
다만 재생에너지 전력 단가가 크게 떨어질 경우 수익이 줄어드는 위험을 어떻게 막을지가 숙제로 꼽힙니다.
영암군은 공청회에서 모은 의견을 반영해 내년에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지정을 신청, 오는 2030년부터 주민들에게 기본소득을 지급한다는 계획입니다.
MBC뉴스 박종호입니다.
#햇빛연금 #이익공유제 #에너지기본소득 #영암군 #신재생에너지
관련링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영암군, 국토부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선정 25.09.30
- 다음글[내일신문] 전남 해남·영암에 ‘에너지 신도시’ 건설한다 25.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