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터활동

자료실

3월 한 달간 제어규모 29.4GW…재생E 간헐성 탓에 제어 우선순위 두고 마찰 제주선 입찰 도입 후 출력제어 72% 하락…1…

페이지 정보

작성일2025-04-04 09:50 조회수10

본문

 트위터(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기사보내기 카카오톡(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밴드(으)로 기사보내기 네이버블로그(으)로 기사보내기 URL복사(으)로 기사보내기 다른 공유 찾기
바로가기 기사스크랩하기
본문 글씨 키우기 본문 글3월 한 달간 제어규모 29.4GW…재생E 간헐성 탓에 제어제주선 입찰 도입 후 출력제어 72% 하락…1분기 예고된 날짜 육지 절반 수준
지난 1분기 육지에서 진행된 비중앙급전발전기에 대한 출력제어가 33GW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연합뉴스]
지난 1분기 육지에서 진행된 비중앙급전발전기에 대한 출력제어가 33GW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사진=연합뉴스]


3월 한 달간 제어규모 29.4GW…재생E 간헐성 탓에 제어 우선순위 두고 마찰
제주선 입찰 도입 후 출력제어 72% 하락…1분기 예고된 날짜 육지 절반 수준

출처 : 전기신문(https://www.electimes.com)

그동안 제주도에서 중점적으로 진행됐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이제는 육지에서 급격히 늘어나는 모양새다.

전력거래소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출력제어를 이행한 육지 비중앙제어발전 설비용량은 33GW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전력거래소가 출력제어를 예고했지만 아직 실적이 공개되지 않은 3월 26, 28, 29, 30일에도 상당한 양의 발전설비가 제어 대상이 됐던 것을 감안할 때 전체 용량은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비중앙급전발전기는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 및 통제를 받지않는 20MW 이하 발전기로, 자가용 및 구역전기발전기로 여기에 포함되지만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대부분이다. 

출력제어가 발생한 두 달(2,3월) 중 3월 출력제어 비중이 크게 높았다.

3월달에 제어된 발전설비 용량은 2만9423MW로 2월 3667MW 대비 8배에 달했다.

전력거래소가 공개한 1분기 출력제어 설비 용량.[사진=전기신문 재정리]
전력거래소가 공개한 1분기 출력제어 설비 용량.[사진=전기신문 재정리]

특히 3월 들어 급등한 출력제어는 발전량이 들쑥날쑥한 재생에너지 특성 탓에 전력당국과 업계 간 마찰을 빚는 요인이 됐다.

계통 부족으로 재생에너지의 접속이 어려워지면서 정부는 ‘선접속 후제어’ 제도를 도입, 계통이 확보될때까지 우선 출력제어를 조건으로 재생에너지 설비를 계통과 연계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들 이렇게 계통에 들어온 설비들이 최근 출력제어에서 후순위에 놓였던 것이 확인되며 업계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

이들은 과거 설비들과 달리 전력거래소가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춰, 출력제어가 빈번해진 최근 상황에 즉시 제어를 위해 일종의 예비력 역할을 해야했던 탓이다. 그러다보니 반대로 후순위로 밀렸어야 하는 기존 설비들이 오히려 먼저 출력제어 대상이 돼 업계의 불만을 자아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제주에서 시범운영 중인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의 육지 확대가 시급하다는 업계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업계에서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의 확대를 주장하는 배경 중 하나는 입찰을 통해 출력제어 횟수를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 출력제어가 예고된 날만 따졌을 때 육지에서는 2,3월 두달 간 18일로 같은 기간 제주에서 예고된 9일과 비교할 때 두 배 정도다.

과거 제주에서는 한 해 100일이 넘는 출력제어가 발생하며 육지보다 월등히 높은 제어 횟수를 보였다. 그러나 전력거래소가 지난해 6월부터 실시한 재생에너지 입찰시장 도입 후 3개월 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주 지역의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전년대비 72%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거래소가 집계한 작년 6월부터 9월까지 입찰제 미참여 재생에너지 설비의 출력제어 횟수는 3회에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28%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그동안 예측 및 제어가 불가능했던 재생에너지를 입찰을 통해 시장에 편입, 이를 통해 어느 정도 예측가능한 계통 운영을 실시할 수 있었던 덕분이다.

다만 현재 재생에너지 입찰시장을 준비 중인 전력당국도 구체적인 육지 도입 일정을 확정짓지는 못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최근 탄핵 정국이 이어지면서 정부가 새로운 전력시장 제도를 추진하는 데 속도를 내지 못하는 탓이다.

전력당국 한 관계자는 “실제 시범도입 결과 제주에서 재생에너지 출력제어가 급격히 줄어드는 결과를 확인했다. 당초 계획대로 육지까지 확대가 목표”라면서도 “그러나 현재는 정치 상황 탓에 새로운 제도 도입이 어려워, 구체적인 일정은 수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